이번 시간에는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파일을 업로드 하는 것은 html에서 해야 할 일이 있지만 서버쪽에서 처리해 줘야 하는 역할이 더 크기 때문에 파일업로드 파트는 조금 피상적일 수도 있습니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서버쪽 관련된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간단히 이해하고 넘어가도록 합시다. form_file.html 이라는 화일을 만들어서 시작해 봅시다. 파일을 업로드할 때 필요한 html코드는 파일을 업로드하는 코드가 있다면 form태그의 속성은 metho="post" enctype="multipart/form-data"가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은 서버쪽 엔지니어가 정하는 부분이므로 웹개발자는 자세히 몰라도 되는 부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method라는 주제에 대해서 배워봅시다. 폼이라는 것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서버쪽으로 전송하는 과정입니다. 데이타를 전송하는 방법 중에는 몇가지 방법이 있는데, 지금까지 배운 것은 get방식을 사용해서 서버에 데이타를 전송하였습니다. 실행화일인 form_method.html이라는 화일을 만들어 봅시다. get방식 : post방식 : 폼태그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방식에는 GET, POST 2가지가 있습니다. get방식은 url을 통해 데이타를 전송하는 것이고, post방식은 url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숨겨서 전송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가 form태그를 통해서 데이타를 전송할 때는 거의 100% post방식을 사용하지만 이것을 정하는 것은 사실 서버쪽 엔지니어의 권한이다." get방식..
이번 시간에는 label이라는 것을 배워보도록 합시다. 파일을 form_label.html을 만들어 보도록 합시다. form_text.html 화일을 이용해서 copy & paste를 해서 화일명만 바꿔서 사용합니다. text : password : textarea : default value 붉은색 파란색 이라는 태그는 폼태그의 이름을 지정하는 태그입니다. 사용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는 label의 속성인 for와 id값을 이용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label태그의 for="A"와 이름을 지정하려는 태그 input id="A"를 같은 값으로 묶어줍니다. 두번째는 이름을 지정하려는 input태그를 label태그로 감싸줍니다. label태그의 자체적으로는 아무런 기능이 없지만 해당하는 UI ..
학습목표 글맵시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글맵시를 편집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그림을 삽입하고 효과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타자연습하기 : 글맵시 삽입하기 한글 파일의 빈 화면에서 글맵시를 삽입해 봅시다. [입력]메뉴 - [개체] - [글맵시]를 클릭하여 대화상자에서 "페르시안고양이"라는 내용을 삽입합니다. 글꼴(HY견고딕), 글맵시 모양은(■) 지정한 후에 클릭합니다. 글맵시의 개체를 선택한 후에 [글자처럼 취급]을 체크해 줍니다. 그리고 [가운데 정렬]을 클릭하여 내용을 위치시킵니다. 글맵시 편집하기 글맵시 개체를 선택한 후에 [글맵시]탭 - [스타일] 그룹의 선 색을 검정으로 지정하고 선종류를 점선으로 채우기색을 노랑으로 지정합니다. [글맵시]탭의 그림자 메뉴에서 그림자..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hidden field라는 것입니다. 이제까지 살펴본 태그들은 체크박스, 라디오버튼, 제출버튼, 버튼 다 눈에 보이는 것이었는데, 이번 시간에는 UI가 없이 서버쪽으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hidden field라는 것을 배워봅시다. form_hidden.html이라는 화일을 [실습] 폴더에 만들어 줍시다. 일 때, UI가 눈에 보이진 않지만 서버로 값이 전송될 때 사용하는 것으로 'hide=이미남'으로 전송이 됩니다. 즉 UI가 필요없거나 사용자 몰래 어떤 값을 서버로 전송할 필요가 있을 때 쓰이는 태그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