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말퍼즐문제.pptx
방과후 소프트웨어 시간.
인터넷 검색을 하기 위한 십자말 퍼즐 문제
각 문제에 대한 내용들을 검색을 하여, 찾아 답변을 합니다.
2~3명씩 팀을 이루거나 아니면 개인별로 해서 점수를 매겨서 시상합니다.
문제01
가로
-
신라의 시조. 왕호는 거서간. (박혁거세)
-
샘에서 나오는 물 (샘물)
-
씨없는 수박, 한번 심어 두번 수확하는 벼 등을 개발한 농학자. (우장춘)
-
고층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여 짐을 오르내리는 시설. 혹은 베네치아의 명물인 작은 배 (곤돌라)
-
수중 동물들에게 주로 있는 물 속의 산소를 받아들이는 기관. (아가미)
-
생체 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에 체내에서 일어나는 방어적 반응. 혹은 싫증의 또다른 말. (염증)
-
이루어 지기를 바라는 일. 우리의 O O 은 통일. (소원)
-
여러 사람이나 동물이 모여 있는 것 (무리)
-
단군의 아버지이자 환인의 아들이며 웅녀의 남편인 신화 속 인물. (환웅)
-
대강 헤아리는 것 (어림짐작)
-
산 속에 있는 별장, 또는 별장 같은 여관 (산장)
-
도시의 주택가에 사는 여자 (업타운걸)
세로
-
세균, 혹은 발효나 부패, 병을 일으키는 작은 생물. (박테리아)
-
곧게 일으키다 (세우다)
-
물결이 바위 등에 부딪쳐 사방으로 흩어지는 잔물방울 (물보라)
-
봄철에 나른하고 피로를 쉽게 느끼는 증상 (춘곤증)
-
물에 그물을 쳐서 고기를 기르는 어장 (가두리어장)
-
늘 간절히 생각하고 바라는 것 (염원)
-
영웅과 호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영웅호걸)
-
일정한 목적과 계획 아래 하는 일 (작업)
|
문제02
가로
-
파장이 매우 짧은 극초단파로 텔레비전 중계, 통신 등에 이용하는 전자파. (마이크로파)
-
물건을 보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기는 것 (견물생심)
-
국토의 사분의 일이 바다보다 낮다. 수도는 암스테르담 (네덜란드)
-
사물의 넓이, 부피, 양 따위의 큰 정도 (크기)
-
운동경기에서 가장 활약이 큰 선수 (에이스)
-
유언을 적은 글 (유서)
-
한국의 전통극으로 광대들이 탈을 쓰고 하는 놀이. (산대놀이)
-
한쌍의 남녀 (커플)
-
몸안에 일어나는 심리적, 신체적 피로 (스트레스)
세로
-
가벼운 금속으로 합금재료로도 많이 쓰이며 지각을 구성하는 8대 원소 중 하나. (마그네슘)
-
일정한 임무를 맡겨 사람을 보내는 것 (파견)
-
건강에 유익하도록 건강에 해로운 것을 없애는 일 (위생)
-
오랫동안 쓸 많은 물을 담아 두는 통 (물탱크)
-
마음속의 생각과 감정 (심정)
-
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로 식료품등을 얼리는데 사용 (드라이아이스)
-
특별한 대우, 좋은 대우 (우대)
-
곡예나 공중에서 줄타기, 그네타기 등을 보여주는 것 (서커스)
-
산에서 사는 새, 멧새라고도 한다. (산새) |
문제03
가로
-
제왕의 정복에 갖추어 쓰던 관. 예수님의 가시 OOO (면류관)
-
닷새마다 서는 시장 (오일장)
-
심심함을 잊고 시간을 보내기 위해 하는 일 (심심풀이)
-
스승을 섬기거나 스승의 가르침을 받는 것 (사사)
-
물기, 혹은 종자식물에서 수술의 화분이 암술머리에 옮겨 붙는 일 (수분)
-
배추와 무 등을 소금에 절여 고춧가루, 젓 등의 양념으로 버무린 음식 (김치)
-
사람의 마음에 일어나는 여러 가기 감정. OO불안 (정서)
-
강의 큰 줄기를 이루는 작은 물줄기 (지류)
-
값을 냈다는 표시로 우편물에 붙이는 작은 종이. (우표)
-
푸른색의 보석으로,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단단하다. (사파이어)
-
여진족과 만주족의 선조, 고구려시대 유목민족 (말갈족)
-
신라 23대왕으로 불교를 나라의 종교로 정하였으며 최초로 국가의 법률반포. (법흥왕)
세로
-
자유롭지 않은 사람을 찾가가 만나는 일. (면회)
-
관심의 대상 (관심사)
-
길고 푸른 열매채소로 여름에 노란꽃이 핀다. (오이)
-
오륜의 하나로 윗사람과 아랫사람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다는 것. (장유유서)
-
풀잎이나 농작물을 갉아먹는 메뚜기과의 곤충. (풀무치)
-
온음표의 사분의 일의 길이를 나타내는 음표 (사분음표)
-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이며, 호는 백범 (김구)
-
버스나 전철 등이 사람을 태우거나 내려 주기 위하여 머무르는 일정한 장소 (정류장)
-
우리나라 사람들이 쓰는 말 (우리말)
-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인쇄를 하는 데 쓰는 것. (종이)
-
긴 말이나 글에 쓸데 없이 붙이는 말. 혹은 두 팔 두 다리. (사족)
-
말을 사용하는 바른 규칙 (어법)
-
지금보다 이전, 이미 그렇게 하기로 정해서, 기왕 (이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