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HTML을 정보를 담게 하는 것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font>태그는
HTML태그들 중에서 대표적으로 퇴출이 된 태그입니다.
<font size="3" color="red">Hello</font> 시각적인 효과만 보여질 뿐이고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퇴출되고 디자인 적인 측면에서 효과를 더하기 위해서는 CSS라는 별도의 언어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단지, HTML은 정보로써의 의미만 가지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meta>태그는
웹페이지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태그입니다.
제목이나 본문의 내용이 대략적으로 어떤 의미인지를 살펴보는 것입니다.
웹페이지에 표현되지 않지만 웹페이지를 잘 설명하기 위한 부가적인 방법이 <meta>태그입니다.
<meta charset="utf-8"> : 문자의 규칙은 utf-8로 저장되어졌습니다.
<meta name="description" content="생활코딩의 소개자료"> : 웹페이지상에서는 표시가 되지 않지만 웹페이지에 대한 요약된 정보로 사용됨. 검색엔진의 경우 검색결과문의 요약자료로 사용됨.
<meta name="keywords" content="코딩,coding,생활코딩,프로그래밍,html,css,javascript"> : 키워드를 검색하는 기계가 안에 있는 내용들을 읽어와서 사용하는 경우
<meta http-equiv="refresh" content="30"> : 웹페이지를 30초 간격으로 refresh해 주는 역할을 해 주는 <meta>태그입니다.
의미론적인 태그 - semantic
article | 본문 |
aside | 광고와 같이 페이지의 내용과는 관계가 적은 내용들 |
details | 기본적으로 표시되지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정보들을 정의 |
figure | 삽화나 다이어그램과 같은 부가적인 요소를 정의 |
footer | 화면의 하단에 위치하는 사이트나 문서의 전체적인 정보를 정의 |
header | 화면의 상단에 위치하는 사이트나 문서의 전체적인 정보를 정의 |
main | 문서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컨텐츠를 정의 |
mark | 참조나 하이라이트 표시를 필요로 하는 문자를 정의 |
nav | 문서의 네비게이션 항목을 정의 |
section | 문서의 구획들을 정의 (참고) |
time | 시간을 정의 |
검색엔진 최적화
참고자료(구글 검색엔진 최적화 가이드)
반응형
'방과후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 form : 파일업로드 (0) | 2017.09.11 |
---|---|
HTML - form : method (0) | 2017.09.11 |
HTML - form : label (0) | 2017.09.11 |
HTML - form : hidden (0) | 2017.09.08 |
HTML - form : button (0) | 2017.09.08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