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웹페이지에 표를 삽입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table>이라는 태그를 이용해서 표를 만드는데, HTML의 태그들 중에서 가장 복잡한 태그라고 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예제를 만들어 봅시다.
이름 | 성별 | 학년 |
이미남 | 남자 | 4학년 |
이미녀 | 여자 | 3학년 |
<
table
border
=
"2"
>
<
tr
>
<
td
>이름</
td
> <
td
>성별</
td
> <
td
>학년</
td
>
</
tr
>
<
tr
>
<
td
>이미남</
td
> <
td
>남자</
td
> <
td
>4학년</
td
>
</
tr
>
<
tr
>
<
td
>이미녀</
td
> <
td
>여자</
td
> <
td
>3학년</
td
>
</
tr
>
</
table
>
border는 테이블의 테두리를 표시하는 것으로 다음에 나오는 숫자값으로 선의 굵기를 결정할 수가 있습니다.
td(table data)의 약자로 테이블안에 들어가는 내용을 표시합니다.
tr(table row)의 약자로 행을 표시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
'방과후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 form 기본 (0) | 2017.09.05 |
---|---|
HTML - 표2 : 구조 및 병합 (0) | 2017.09.04 |
HTML - 이미지 : img (0) | 2017.09.04 |
HTML - 줄바꿈 : br (0) | 2017.08.30 |
HTML - 단락 : p 태그 (0) | 2017.08.30 |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